학력
2003. 2 광운대학교 환경공학과 공학사
2005. 2 광주과학기술원 환경공학과 공학석사
2009. 8 광주과학기술원 환경공학과 공학박사
주요 경력
2013. 9.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조교수, 부교수
2020. 2. ~ 2021. 1. Genomic center,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방문연구원
2013. 4. ~ 2013. 8.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연구교수
2010. 11. ~ 2013. 8. Oregon State University, Department of Environmental and Molecular Toxicology, 박사후 연구원
2010. 1. ~ 2010. 10. University of Utah, Department of Pharmaceutics and Pharmaceutical Chemistry, 박사후 연구원
연구 분야
◾ 제브라피쉬 (배아 및 성체)모델을 활용한 환경독성연구
- 발달독성 및 (발달)신경독성 평가
- 비번역RNA, DNA methylation 등 후성유전학적 독성 매커니즘 규명
- 환경마이크로비움: 유해화학물질 노출에 의한 장내미생물 군집변화
- 유해화학물질 복합물의 저농도, 만성노출에 의한 대사증후군(비만, 당뇨, 치매) 발생 매커니즘 규명
- 환경대사체학 적용 및 통합오믹스 분석
◾ 유해화학물질관리(규제독성학)
- Read-across, nano-QSAR 등 NAMs 기법 활용한 독성예측
- 생활화학제품 안전기준(안) 설정
◾ 생태독성
- 유해화학물질의 수생태 거동과 생태독성변화 평가
◾ 환경보건
- 생활화학제품 노출 및 위해성평가
- 유해화학물질 인체 노출평가
담당 교과목
환경유기화학
유해화학물질관리
환경생태학
환경독성학
생태 및 인체 위해성평가론
주요논문 및 저서
(2023)
82. Lim J., Kang H., Lee J., Kim S., Bae M., Moon H., Choi K., Kim C., Kim Ki-Tae*. Urinary concentrations of organophosphate esters and associated health outcomes in Korean firefighters. Submitted
81. Lee H., Yoon S., Park Y., Lee J., Rhyu D., Kim Ki-Tae*. Microbiota dysbiosis associated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like effects caused by chronic exposure to a mixture of chlorinated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in zebrafish. In revision.
80. Na A., Lee H., Min E., Paudel S., Choi S., Sim H., Liu K., Kim Ki-Tae, Bae J., Lee S.* Novel time-dependent multi-omics integration to explore mechanisms of disease progression in sepsis-associated liver dysfunction. In press in Genomics, Proteomics & Bioinformatics. (IF=6.409)
79. Min E., Lee H., Sung E., Seo S., Kim S., Bae M., Song M., Lee J., Wang S., Kim T., Lee S., Kim Ki-Tae*. 2023. Integrative multi-omics reveals analogous developmental neurotoxicity mechanisms between perfluorobutanesulfonic acid and perfluorooctanesulfonic acid in zebrafish. In press in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131714. (IF=14.224)
76. Lee, H., Gao Y., Kim J., Shin S., Choi M., Hwang Y., Lee S., Rhyu D., Kim, Ki-Tae*. 2023(3). Synergetic effects of concurrent chronic exposure to a mixture of OCPs and high-fat diets on type 2 diabetes and beneficial effects of caloric restriction in female zebrafish.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446: 130659. (IF=14.224)
[국문]
환경보건 취약지역에 거주하는 저소득 집단의 카드뮴 노출과 신장질환 영향. 환경보건학회지. 2023. 49(1): 1-9
(2022)
74. Lee H., Tran C., Jeong S., Kim S., Bae M., Kim Ki-Tae*. 2022(12). Seizurogenic effect of perfluorooctane sulfonate in zebrafish. NeuroToxicology. 93: 257-264. (IF=4.398)
72. Kim J., Kim S., Hwang K., Park H., Cho S.,* Bae M.,* Kim Ki-Tae.* 2022(10). Chronic exposure to butyl-paraben causes photosensitivity disruption and memory impariment in adult zebrafish. Aquatic Toxicology. 251:106279. (IF=5.202)
71. Jeong S., Jang S., Kim S., Bae M., Shin J., Lee K., Kim Ki-Tae* 2022(10). Size-dependent seizurogenic effect of polystyrene microplastics in zebrafish embryos.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439: 129616. (IF=14.224)
70. Kim, S., Kim, J., Hwang, K., Park, H., Bae, M.*, Kim, Ki-Tae*, Cho, S.* 2022(8). Mechanism of action and neurotoxic effects of chronic exposure to bisphenol F in adult zebrafish.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851: 158258 (IF=10.753)
67. Gao Y., Lee H., Lee S.*, Kim Ki-Tae* 2022(4). Type 2 diabetes induced by changes in proteomic profiling of zebrafish chronically exposed to a mixture of organochlorine pesticides at low concentr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9(9): 4991. (IF=3.390)
[국문]
도시 저소득층의 프탈레이트 노출수준과 관련 요인: 거주 취약집단을 중심으로. 환경보건학회지. 2022. 48(6): 1-9
SWOT 분석을 통한 환경보건 연구의 동향과 전망 고찰. 환경보건학회지. 2022. 48(5): 255-265
(2021)
64. Lee H., Sung E., Seo S., Min E., Lee J., Shim I., Kim P., Kim T.*, Lee S.*, Kim Ki-Tae* 2021(12). Integrated multi-omics analysis reveals the underlying molecular mechanism for developmental neurotoxicity of perfluorooctanesulfonic acid in zebrafish. Environment International. 157: 106802 (IF=13.352)
63. Jung U., Lee B., Kim G., Shin H.*, Kim Ki-Tae* 2021(11). Nano-QTTR development for interspecies aquatic toxicity of silver nanoparticles between daphnia and fish. Chemosphere. 283: 131164 (IF=8.943)
59. Lee H., Gao Y., Ko E., Lee J., Lee H., Lee S., Choi M., Shin S., Park Y., Moon H., Uppal K., Kim Ki-Tae* 2021(8). Nonmonotonic response of type 2 diabetes by chronic exposure to a low concentration of an organochlorine pesticide mixture: Findings from multi-omics in zebrafish (Danio rerio).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416: 125956.(IF=14.224)
58. Park C., Kim Ki-Tae*, Rhyu D.* 2021(7). Exposure to a low concentration of a mixture of organochlorine pesticides impairs glucose metabolism and mitochondrial function in L6 myotubes and zebrafish.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414: 125437. (IF=14.224)
57. Lee G., Lee B., Kim Ki-Tae* 2021(6). Mechanisms and effects of zinc oxide nanoparticle transformations on toxicity to zebrafish embryos. Environmental Science: Nano. 8:1690-1700. (IF=9.473)
56. Lee H., Ko E., Shin S., Choi, M., Kim Ki-Tae* 2021(5). Differential mitochondrial dysregulation by individual organochlorine pesticides (OCPs) and their mixture in zebrafish embryos. Environmental Pollution. 277: 115904. (IF=9.988)
54. Min E., Lee A., Lee J., Shim I., Kim P., Kim, T., Kim Ki-Tae, Lee S.* 2021(1). Advantages of omics technology for evaluating cadmium toxicity in zebrafish. Toxicological Research. (IF=3.019)
53. Tran C., Do T., Kim Ki-Tae* 2021(1). Comparative analysis of neurotoxicity of six phthalates in zebrafish embryos. Toxics. 9: 5. (IF=4.472) (Editor's Choice Article)
52. Tran C., Lee H., Lee B., Ra J., Kim Ki-Tae* 2021(1). Effects of the chorion on the developmental toxicity of organophosphate esters in zebrafish embryos.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401: 123389. (IF=14.224)
저역서
환경보건학, (사)한국환경보건학회, 에피스테메
환경위해관리, (사)한국환경보건학회, 신광출판사
NCS기반 학습모듈개발_위해성관리, 실내공기질관리
환경보건실무, (사)환경보건학회 환경보건센터, 신광출판사
특허
멀티채널분배 기능을 가지는 생태독성시험 시스템 및 그 방법. 2018(3). (제 10-1842912)
형광 화합물, 상기 형광 화합물을 포함하는 이미다졸계 화합물, 및 상기 이미다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차아염소산 이온 검출용 화학센서. 2020(4). (제 10-2102542)
피콜리노일하이드라자이드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차아염소산 이온 검출용 화학센서. 2020(9). (제10-2159919)
차아염소산 이온 검출용 화학센서. 2023(5).
연구프로젝트
수행중인 과제
1. 연구과제명: 제브라피쉬 배아를 활용한 다중 및 통합Omics기반 과불화화합물의 독성 매커니즘 규명 (2022~2027)
책임연구원, 개인연구지원사업(중견연구), 한국연구재단
2. 연구과제명: 생활화학제품 안전사용을 위한 제브라피쉬 기반 신규 신경독성평가법 개발(2020~2024)
공동연구,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기술개발사업, 한국환경산업기술원
3. 연구과제명: 생활화학제품 함유 혼합물 대상 인체 생식‧발생 독성 및 내분비계장애평가기술 개발(2020~2024)
공동연구,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기술개발사업, 한국환경산업기술원
4. 환경서비스 이공계중점기술연구소 (2020~)
공동연구, 한국연구재단
5. 연구과제명: 만성유해성물질 관리 로드맵(안) 마련
책임연구원, 환경부
6. 연구과제명: 사용량 기반 의약외품 위해평가 (탐색적 모니터링)
세부책임연구원, 식품의약품안전처 (2023)
7. 연구과제명: 등록화학물질 초기 위해성평가
참여연구원, 국립환경과학원 (2023)
8. 연구과제명: 살생물제 환경위해성평가 고도화
참여연구원, 국립환경과학원 (2023)
수행완료 과제
30. 연구과제명: 사용량기반 의약외품 위해성평가(탐색적모니터링)사업 (2022)
위탁책임, 식품의약품안전처
29. 연구과제명: 화학물질의 위해성에 관한 자료 검증(V)
공동연구, 국립환경과학원
28. 연구과제명: 나노물질의 환경노출평가 (III)
공동연구, 국립환경과학원
27. 연구과제명: 등록화학물질 초기 위해성평가-메틸아민 등 15종
공동연구, 국립환경과학원
26. 연구과제명: 국내 생활용품 및 신규 융복합제품의 위해성평가 기반의 프탈레이트 관리방안 마련 (2021~2022)
세부책임, 융복합신기술제품안전기술지원,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산업통상자원부
25. 연구과제명: 화학물질 유해성평가 기법 연구(II) - 통합 Omics 평가기법 (2021)
연구책임, 국립환경과학원
24. 연구과제명: 화학사고 후 생태계오염 모니터링 및 생태영향 통합평가 기술 개발(2016-2021)
공동연구, 화학사고대응 환경기술개발사업, 한국환경산업기술원
23. 연구과제명: 미세플라스틱 원천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2018~2021)
SeoulTech 미래핵심선도 프로젝트
22. 연구과제명: 살생물제 안심사용을 위한 첨단 신경독성 평가기술 개발(2019~2020)
공동연구, 안심 살생물제 관리기반 기술개발사업, 한국환경산업기술원
21. 연구과제명: 화학물질 유해성평가 기법 연구(I) - 통합 Omics 평가기법(2020)
공동연구, 국립환경과학원
20. 연구과제명: 나노물질의 사전예방적 유해성평가 예측
연구책임, 국립환경과학원(2019)
19. 연구과제명: 화학물질 위해성에 관한 자료 검증(2019)
공동연구, 국립환경과학원(2019)
18. 연구과제명: 화학물질 복합물 노출과 제2형 당뇨병 발생 상관관계 규명을 위한 동물모델 개발
연구책임, 생활공감환경보건기술개발사업, 한국환경산업기술원(2016-2019)
17. 연구과제명: 고위험성우려물질(SVHC)함유 어린이제품 품목군 확인 및 품목군별 인체위해성 평가
공동연구, 소비자제품안전기술기반조성사업,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2018~2019)
16. 연구과제명: EDCs 통합 위해성 평가 및 모델 개발
협동책임, 생활공감환경보건기술개발사업, 한국환경산업기술원(2015-2019)
15. 연구과제명: OPFRs 발달독성에서의 비번역RNA 역할 규명
연구책임, 신진연구지원사업, 한국연구재단(2015~2018)
14. 연구과제명: 살생물제 물리화학적 특성, 인체환경유해성 시험방법 마련(I)
공동연구, 국립환경과학원(2018)
13. 연구과제명: 화학물질 신규 독성평가기법의 중장기 활용 방안 수립
연구책임, 국립환경과학원(2018)
12. 연구과제명: 화학물질 등록·평가를 위한 위해성에 관한 자료 검증 방안 연구(Ⅰ)
공동연구, 국립환경과학원(2018)
11. 연구과제명: 삼산화 안티몬(Antimony Trioxide, CAS 1309-64-4) CSR 작성
연구책임,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10. SK 텔레콤 위탁과제(2015, 2016), 연구책임
9. 연구과제명: Hyalella azteca를 이용한 카본나노물질의 저서독성평가
연구책임, 안전성평가연구소, 미래창조과학부(2015)
8. 연구과제명: 비법정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실태조사
위탁책임, 환경부(2014~2015) 주관기관: FITI 시험연구원
7. 연구과제명: 제브라피쉬를 이용한 대체난연제물질의 발달 독성평가
연구책임, 일반연구지원사업, 한국연구재단(2013~2015)
6. 연구과제명:화학물질 유해성시험방법 도입 및 개선 연구
공동연구, 국립환경과학원(2014)
5. 연구과제명: 환경 중 의약물질의 신규 관리전략 마련을 위한 위해성 평가연구
공동연구, 국립환경과학원(2014)
4. 연구과제명: 환경 중 의약물질의 신규 관리전략 마련을 위한 위해성 평가연구
공동연구, 국립환경과학원(2013)
3. 연구과제명: 나노 안전성 조사연구 사업평가 및 방향수립
공동연구, 국립환경과학원(2014)
2. 연구과제명: 생활공감 유해물질의 매체통합위해성 평가(III)- PBDEs, BPA
공동연구, 국립환경과학원(2013)
1. 연구과제명: 고속 생체 내 독성 평가 자동화 시스템 개발
연구책임, 학문후속세대양성, 한국연구재단(2011~2012)
기타(학회활동 등)
Editorial Board
Toxicology Reports (2016~)
Toxics (2020~)
학회 활동
환경독성보건학회 이사
한국환경보건학회 이사
Member in Society of Toxicology (SOT) 2012~
Member in Society of Environmental Toxicology and Chemistry (SETAC) 2010~
수상
2016, 2017, 2023 우수논문발표상 (한국환경보건학회)
2021 최우수논문발표상 (한국환경보건학회)
2017, 2019, 2020, 2021, 2022, 2023 우수논문발표상 (한국환경독성보건학회)
2018, 2021 우수논문발표상 (제브라피쉬 분과연구회)
2019 환경부장관 표창
2022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원장표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