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연구
교수소개
 교수·연구 교수소개
김기태 교수
Ki-Tae Kim
MAJOR
환경독성/유해화학물질관리
TEL
02-970-6642
E-MAIL
ktkim@seoultech.ac.kr
LAB
큐브동 310
HOMEPAGE
https://zebratox.seoultech.ac.kr/index.do
RESEARCH AREAS
환경독성
학력
2003. 2 광운대학교 환경공학과 공학사
2005. 2 광주과학기술원 환경공학과 공학석사
2009. 8 광주과학기술원 환경공학과 공학박사
주요 경력
2013. 9.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조교수, 부교수, 교수
2023.12.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구처 부처장, 산학협력단 부단장,
2023.12. ~ 2025.2. LINC3.0 부단장
2020. 2. ~ 2021. 1. Genomic center,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방문연구원
2013. 4. ~ 2013. 8.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연구교수
2010. 11. ~ 2013. 8. Oregon State University, Department of Environmental and Molecular Toxicology, 박사후 연구원
2010. 1. ~ 2010. 10. University of Utah, Department of Pharmaceutics and Pharmaceutical Chemistry, 박사후 연구원
연구 분야
◾ 제브라피쉬 (배아 및 성체)모델을 활용한 환경독성연구
- 발달독성 및 (발달)신경독성 평가
- 환경대사체(지질체)학 및 통합오믹스 분석
- 유해화학물질 복합물의 저농도, 만성노출에 의한 대사증후군(비만, 당뇨, 치매) 발생 매커니즘 규명
◾ 유해화학물질관리(규제독성학)
- 미세생리시스템을 활용한 NAMs 독성평가 및 예측
◾ 생태독성
- 유해화학물질의 수생태 거동과 생태독성변화 평가
- 타이어유래 오염물질의 분석법 확립 및 독성, 위해성 평가
◾ 환경보건
- 생활화학제품, 위생용품의 노출 및 위해성평가
- 유해화학물질 인체 노출평가
담당 교과목
환경유기화학
유해화학물질관리
환경생태학

환경독성학
생태 및 인체 위해성평가론
주요논문 및 저서
(2025)
99. Pech P., Min E., Rhyu D., Kim Ki-Tae*. Effect of the perfluorooctane sulfonic acid (PFOS) precursor perfluorooctane sulfonamide (PFOSA) on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in 3T3-L1 adipocytes and zebrafish larvae. Submitted.
98. Park C., Thakuri L., Lee H, Park J., Kim Ki-Tae*, Rhyu D.* Chronic exposure to organochlorine pesticide mixture induces type 2 diabetes mellitus-associated metabolic dysregulation in C57BL/6J mice. Submitted.
97. Kang H., Kim S., Lee H., Jeong Y., Lee J., Lee In., Moon H., Choi K., Kim Ki-Tae*. Parabens, bisphenols, and other environmental phenols exposure from cosmetics use in Korean adolescent girls: Findings from a 2-day intervention study. In revision.
96. Kang J., Tran C., Lee H., Kim S., Cho S., Bae M., Park K., Kim Ki-Tae*. 2025(7). Diethyl-hexyl-cyclohexane (Eco-DEHCH) is a safer phthalate alternative that does not elicit neuroendocrine-disrupting effects.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491: 137947. (IF=12.2, <5%)
95. Kim S., Kim S., Kim Y., Ha Y., Lee H., Im H., Yang J., Shin D., Hwang K., Son Y., Park S., Lee H., Kim K., Kim Ki-Tae, Cho S., Bae M.*, Park H*. 2025(3). Neurotoxicity of citronellol induced by KYN to 3-HK metabolic activation.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486: 136965. (IF=12.2, <5%)
94. Park S., Yun P., Hong Y., Kim Ki-Tae, Choo G.* 2025(2). Organophosphate flame retardants and their metabolites in paired dog food and urine: Pet exposure through food consumption. Chemosphere. 370: 143960. (IF=8.1, <10%)
93. Min E., Kim S., Liu K., Kim Ki-Tae*. 2025(2). Applying newly suggested simultaneous analysis of metabolomics and lipidomics into perfluorooctanesulfonate (PFOS)-derived neurotoxicity mechanism in zebrafish embryos.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484: 136712. (IF=12.2, <5%)
92. Kim J., Sonar N., Thakuri L., Park J., Kim Ki-Tae*, Rhyu D.* 2025(1). Mixtures of polystyrene micro and nanoplastics affects lipid and insulin signaling in 3T3-L1 adipocytes and zebrafish larvae. NanoImpact. 37: 100549.

(2024)
89. Jeong Y., Mok S., Kim S., Lee I., Lee G., Kho Y., Choi K., Kim Ki-Tae, Moon H.* 2024(12). Comparison of urinary exposure profiles to phthalates and bisphenol analogues in kindergartens in Korea: Impact of environmental choices on children’s health. Ecotoxicology and Environmental Safety. 288:117391. (IF=6.2, <10%)
88. Lee B., Min E., Kim G., Hong G., Seo J., Choi J., Park J. Kim Ki-Tae*. 2024(10). Biodistribution of synthesiz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s in adult zebrafish, their sex hormone disruption effect, and mitigation using natural organic matter. Ecotoxicology and Environmental Safety. 285: 117108. (IF=6.2, <10%)

(2023)
84. Lee H., Jang S., Eom Y., Kim Ki-Tae*. 2023(12). Comparing ocular toxicity of legacy and alternative per- and polyfluoroalkyl substances in zebrafish larvae. Toxics. 11: 1021. (IF=4.6)
83. Tran C., Ra J., Rhyu D., Kim Ki-Tae*. 2023(12). Transcriptome analysis reveals differences in the developmental neurotoxicity mechanisms of methyl-, ethyl-, and propyl-parabens in zebrafish embryos. Ecotoxicology and Environmental Safety. 268: 115704. (IF=6.8, <10%)
82. Na A., Lee H., Min E., Paudel S., Choi S., Sim H., Liu K., Kim Ki-Tae, Bae J., Lee S.* 2023(12). Novel time-dependent multi-omics integration to explore mechanisms of disease progression in sepsis-associated liver dysfunction. Genomics Proteomics & Bioinformatics. 21(6): 1101-1116. (IF=9.5, <10%)
81. Lim J., Kang H., Lee J., Kim S., Bae M., Moon H., Choi K., Kim C., Kim Ki-Tae*. 2023(10). Urinary concentrations of organophosphate esters and associated health outcomes in Korean firefighters. Chemosphere. 339: 139641. (IF=8.8, <10%)
80. Lee H., Yoon S., Park Y., Lee J., Rhyu D., Kim Ki-Tae*. 2023(10). Microbiota dysbiosis associated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like effects caused by chronic exposure to a mixture of chlorinated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in zebrafish. Environmental Pollution. 334: 122108 (IF=8.9, <10%)
79. Min E., Lee H., Sung E., Seo S., Kim S., Bae M., Song M., Lee J., Wang S., Kim T., Lee S., Kim Ki-Tae*. 2023(9). Integrative multi-omics reveals analogous developmental neurotoxicity mechanisms between perfluorobutanesulfonic acid and perfluorooctanesulfonic acid in zebrafish.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457: 131714. (IF=13.6, <5%)
76. Lee, H., Gao Y., Kim J., Shin S., Choi M., Hwang Y., Lee S., Rhyu D., Kim, Ki-Tae*. 2023(3). Synergetic effects of concurrent chronic exposure to a mixture of OCPs and high-fat diets on type 2 diabetes and beneficial effects of caloric restriction in female zebrafish.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446: 130659. (IF=13.6, <5%)

[국문]
3. 천사호 등. 모의 실험주택 모니터링 결과를 활용한 실내공기 및 바닥먼지 중 Di(2-ehtyl-hexyl) phthalate (DEHP)의 이론적 총량 비율 산출. 환경보건학회지. 2023. 49(6): 1-10.
2. 윤필준.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기반한 어린이제품 사용에 따른 중대사고 발생 요인별 영향 연구. 표준인증안전학회지. 2023. 13(3): 103-122.
1. 조용민 등. 환경보건 취약지역에 거주하는 저소득 집단의 카드뮴 노출과 신장질환 영향. 환경보건학회지. 2023. 49(1): 1-9.
저역서
환경보건학, (사)한국환경보건학회, 에피스테메
환경위해관리, (사)한국환경보건학회, 신광출판사
NCS기반 학습모듈개발_위해성관리, 실내공기질관리
환경보건실무, (사)환경보건학회 환경보건센터, 신광출판사
화학물질평가관련법류, 환경부
특허
멀티채널분배 기능을 가지는 생태독성시험 시스템 및 그 방법. 2018(3). (제 10-1842912)
형광 화합물, 상기 형광 화합물을 포함하는 이미다졸계 화합물, 및 상기 이미다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차아염소산 이온 검출용 화학센서. 2020(4). (제 10-2102542)
피콜리노일하이드라자이드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차아염소산 이온 검출용 화학센서. 2020(9). (제10-2159919)
차아염소산 이온 검출용 화학센서. 2023(5). (제10-2544117)
연구프로젝트
수행중인 과제
1. 제브라피쉬 배아를 활용한 다중 및 통합Omics기반 과불화화합물의 독성매커니즘 규명 (2022~2027)
연구책임, 개인연구지원사업(중견연구), 한국연구재단
2. 제브라피쉬 및 꼬마선충 등을 이용한 대체시험법 개발 및 최적화연구 (2024-2028)
연구책임, 한국보건산업진흥원(식품의약품안전처)
3. 위생용품 분석법 개발 연구 (2024~2025)
공동연구,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식품의약품안전처)
4. 식품용 기구의 안전 사용 방안 마련 연구 (2024~2025)
공동연구,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식품의약품안전처)

수행완료 과제
38. 유해화학물질 안전교육 교재개발 (2024)
연구책임, 환경보전원
37. 생활화학제품 안전사용을 위한 제브라피쉬 기반 신규 신경독성평가법 개발 (2020~2024)
공동연구,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기술개발사업, 한국환경산업기술원
38. 생활화학제품 함유 혼합물 대상 인체 생식‧발생 독성 및 내분비계장애평가기술 개발 (2020~2024)
공동연구,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기술개발사업, 한국환경산업기술원
36. DEHCH의 in vivo, in vitro 내분비계장애영향평가
연구책임, 한화솔루션
35. 사용량 기반 의약외품 위해평가 (탐색적 모니터링) (2024)
위탁책임, 식품의약품안전처
34. 연구과제명: 만성유해성물질 관리 로드맵(안) 마련 (2023)
연구책임, 환경부, 환경보건학회
33. 연구과제명: 사용량 기반 의약외품 위해평가 (탐색적 모니터링) (2023)
위탁책임, 식품의약품안전처
32. 연구과제명: 등록화학물질 초기 위해성평가 (2023)
공동연구, 국립환경과학원
31. 연구과제명: 살생물제 환경위해성평가 고도화 (2023)
공동연구, 국립환경과학원
30. 연구과제명: 사용량기반 의약외품 위해성평가(탐색적모니터링)사업 (2022)
위탁책임, 식품의약품안전처
29. 연구과제명: 화학물질의 위해성에 관한 자료 검증(V)
공동연구, 국립환경과학원
28. 연구과제명: 나노물질의 환경노출평가 (III)
공동연구, 국립환경과학원
27. 연구과제명: 등록화학물질 초기 위해성평가-메틸아민 등 15종
공동연구, 국립환경과학원
26. 연구과제명: 국내 생활용품 및 신규 융복합제품의 위해성평가 기반의 프탈레이트 관리방안 마련 (2021~2022)
세부책임, 융복합신기술제품안전기술지원,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산업통상자원부
25. 연구과제명: 화학물질 유해성평가 기법 연구(II) - 통합 Omics 평가기법 (2021)
연구책임, 국립환경과학원
24. 연구과제명: 화학사고 후 생태계오염 모니터링 및 생태영향 통합평가 기술 개발(2016-2021)
공동연구, 화학사고대응 환경기술개발사업, 한국환경산업기술원
23. 연구과제명: 미세플라스틱 원천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2018~2021)
SeoulTech 미래핵심선도 프로젝트
22. 연구과제명: 살생물제 안심사용을 위한 첨단 신경독성 평가기술 개발(2019~2020)
공동연구, 안심 살생물제 관리기반 기술개발사업, 한국환경산업기술원
21. 연구과제명: 화학물질 유해성평가 기법 연구(I) - 통합 Omics 평가기법(2020)
공동연구, 국립환경과학원
20. 연구과제명: 나노물질의 사전예방적 유해성평가 예측
연구책임, 국립환경과학원(2019)
19. 연구과제명: 화학물질 위해성에 관한 자료 검증(2019)
공동연구, 국립환경과학원(2019)
18. 연구과제명: 화학물질 복합물 노출과 제2형 당뇨병 발생 상관관계 규명을 위한 동물모델 개발
연구책임, 생활공감환경보건기술개발사업, 한국환경산업기술원(2016-2019)
17. 연구과제명: 고위험성우려물질(SVHC)함유 어린이제품 품목군 확인 및 품목군별 인체위해성 평가
공동연구, 소비자제품안전기술기반조성사업,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2018~2019)
16. 연구과제명: EDCs 통합 위해성 평가 및 모델 개발
협동책임, 생활공감환경보건기술개발사업, 한국환경산업기술원(2015-2019)
15. 연구과제명: OPFRs 발달독성에서의 비번역RNA 역할 규명
연구책임, 신진연구지원사업, 한국연구재단(2015~2018)
14. 연구과제명: 살생물제 물리화학적 특성, 인체환경유해성 시험방법 마련(I)
공동연구, 국립환경과학원(2018)
13. 연구과제명: 화학물질 신규 독성평가기법의 중장기 활용 방안 수립
연구책임, 국립환경과학원(2018)
12. 연구과제명: 화학물질 등록·평가를 위한 위해성에 관한 자료 검증 방안 연구(Ⅰ)
공동연구, 국립환경과학원(2018)
11. 연구과제명: 삼산화 안티몬(Antimony Trioxide, CAS 1309-64-4) CSR 작성
연구책임,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10. SK 텔레콤 위탁과제(2015, 2016), 연구책임
9. 연구과제명: Hyalella azteca를 이용한 카본나노물질의 저서독성평가
연구책임, 안전성평가연구소, 미래창조과학부(2015)
8. 연구과제명: 비법정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실태조사
위탁책임, 환경부(2014~2015) 주관기관: FITI 시험연구원
7. 연구과제명: 제브라피쉬를 이용한 대체난연제물질의 발달 독성평가
연구책임, 일반연구지원사업, 한국연구재단(2013~2015)
6. 연구과제명:화학물질 유해성시험방법 도입 및 개선 연구
공동연구, 국립환경과학원(2014)
5. 연구과제명: 환경 중 의약물질의 신규 관리전략 마련을 위한 위해성 평가연구
공동연구, 국립환경과학원(2014)
4. 연구과제명: 환경 중 의약물질의 신규 관리전략 마련을 위한 위해성 평가연구
공동연구, 국립환경과학원(2013)
3. 연구과제명: 나노 안전성 조사연구 사업평가 및 방향수립
공동연구, 국립환경과학원(2014)
2. 연구과제명: 생활공감 유해물질의 매체통합위해성 평가(III)- PBDEs, BPA
공동연구, 국립환경과학원(2013)
1. 연구과제명: 고속 생체 내 독성 평가 자동화 시스템 개발
연구책임, 학문후속세대양성, 한국연구재단(2011~2012)
기타(학회활동 등)
Editorial Board
Toxicology Reports (2016~)
Toxics (2020~)

학회 활동
환경독성보건학회 이사 (현, 연구기획위원장)
한국환경보건학회 이사 (현, 학술위원장)
Member in Society of Toxicology (SOT) 2012~
Member in Society of Environmental Toxicology and Chemistry (SETAC) 2010~
화학안전정책포럼 좌장(2024~)

수상
2024 우수발표상 (한국대사체학회)
2016, 2017, 2020~2024 우수논문발표상 (한국환경보건학회)
2021, 2023, 2024 최우수논문발표상 (한국환경보건학회)
2017, 2019~2023 우수논문발표상 (한국환경독성보건학회)
2018, 2021 우수논문발표상 (제브라피쉬 분과연구회)
2019 환경부장관 표창
2022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원장표창
2017,2018,2019,20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우수연구상

Quick Menu

  • 서울과학기술대학교포털
  • 공학교육혁신센터
  • 입학안내
  • e-Class(강의)
  • 과기대 챗봇
  • 인터넷증명발급
[01811] 서울 노원구 공릉로 23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청운관 131호 환경공학과 TEL : 02-970-6623 FAX : 02-970-9770
Copyright (c)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