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
Graduate school
교과목소개
 대학원 교과목소개
세미나 (Seminar)
학문에 있어서 가장 새로운 정보를 입수 파악하기 위하여 발표된 논문을 중심으로 주제발표 또는 토의를 중심으로 진행한다.
논문연구 Ⅰ, Ⅱ (Research for the master's degree Ⅰ, Ⅱ)
석사학위 졸업논문에 대하여 자료준비 및 실험 등 주로 논문작성을 위한 연구를 수행한다.
수처리계획론 (Water Treatment Plan)
하·폐수처리장 및 분뇨처리장 등 환경오염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각종 시설물 및 관련 기계장치의 원리를 이해하고, 설계 및 운전기법에 대하여 검토한다.
고급용수공학 (Advanced Water Technology)
질소, 인 등의 고도 정수처리공정 및 중수등 물의 재이용에 대하여 검토 한다.
환경시설설계 (Design of Environmental Plant)
환경산업장치설계에 이용되는 컴퓨터 설계 방법에 대하여 이해하고, 실제 플랜트의 설계능력을 배양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를 이용한 설계를 실습하고, 실제 도면의 해석방법에 대하여 검토한다.
수질관리특론 (Advanced water quality management)
지표수 및 지하수의 오염경로, 자정작용에 대한 기본원리를 적용하여 오염방지대책 등 수질관리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검토한다.
고도폐수처리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각종 폐수의 특성에 대하여 검토하고. 각 폐수에 새로운 첨단 고도처리 방식들에 대한 적합한 처리공법에 대하여 검토하며, 처리공정의 계획 및 접근방법, 설계에 대하여 검토한다.
청청기술 (Clean Technology)
외부로 유출되는 폐기물을 회수해 자체 내에서 재활용하거나 유용한 부산물을 만들어 타 용도로 사용하는 기술, 기존 공정을 개선해 에너지 및 자원의 절감 및 효율적 활용을 통해 오염물의 발생량을 저감시키는 기술, 에너지·자원 절약형 및 환경 보전형 신 공정, 원료채취, 생산, 유통, 폐기에 걸친 상품의 전 수명을 통해 환경오염을 원천적으로 덜 유발시키는 기술에 대해 검토한다.
폐기물처리특론 (Advanced Waste Treatment)
폐기물의 종류에 따른 처리방법에 대하여 검토하고, 병용화 되어있는 소각, 열분해, 퇴비화, 고형화 등에 대한 최신기술을 이해하고 실제 현장에 투입시에 각종 처리방법의 설계 및 유지관리 능력을 배양시킨다.
바이오매스에너지화기술특론 (Advanced Technology for Biomass Energy)
바이오매스에너지화기술특론(Advanced Technology for Biomass Energy)
본 교과목에서는 각종 산업공정에서 발생되는 자원화 가능한 각종폐기물바이오매스의 특성에 대하여 이해하고, 폐기물로부터 에너지화에 대한 기술의 이해과 최신기술에 대하여 검토한다.
친환경경영특론(Advanced Eco-Management)
산업계의 최고경영자를 초청하여 경제적 수익성과 환경적 지속가능성과의 조화로 기업을 경영하고 산업계의 동향 및 사례에 대한 세미나 토론강의
대기모델론 (Air Quality Modeling)
대기오염물질의 대기중 확산이동에 대한 원리와 모델링 기법 및 공학적 적용에 대하여 검토한다.
환경자료분석 (Environmental Data Analysis)
환경실험, 환경계에서 획득한 자료의 해석능력을 배양하기 위하여 그래프, 챠트 등의 표현방법과 통계적 분석 기법을 배양한다.
대기오염제어특론 (Advanced Air Pollution Control)
산업공정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중 입자상물질의 처리에 대하여 기존 방법과 최신기술의 분석을 통하여 다양한 공정에서 발생되는 입자상 물질 처리 능력을 배양한다.
바이오가스공학 (Biogas Engineering)
본 교과목은 유기성자원을 이용하여 생물학적으로 유용한 가스를 생산/회수하는 공정에 대한 과목으로 특히 생물학적 수소생산 및 메탄 가스 발생 기작에 대해 심도 있게 살펴본다. 기본적 이론에 대한 내용에 충실하지만 현재 제공되는 실용화 공정에 대한 강의도 일부 포함된다.
생물공학특론 (Advanced Biotechnology for Engineers)
본 교과목의 주 강의내용은 미생물의 생화학적 대사작용의 기본적 이론을 살펴보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광화학적 합성과 혐기적 발효과정을 생물학적 가스화의 관점에서 고찰한다.
토양지하수오염론 (Advanced Soil and Ground Water Pollution)
본 과목에서는 토양 및 지하수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오염물질의 거동에 대해 살펴본다. 특히 오염된 토양 및 지하수에 대한 처리기술의 현황과 기술의 발전방향에 대한 심도 있는 고찰을 수행한다.
환경화학특론 (Advanced environmental chemistry)
환경오염물질의 거동을 추적하고, 이들의 확산과 오염형태를 파악한다. 또한 오염물질의 처리를 위한 기본 원리에 대하여 이해하고, 실제 오염물질의 화학적처리에 응용화하는 방법에 대하여 검토한다.
환경측정방법론 (Environmental Measurement Technology)
환경오염물질의 측정과 분석을 위하여 각종 기기 분석 방법의 원리를 이해하고 환경분석의 실무에 관한 이론과 기법을 습득하고, 각종 분광 광도법, 질량분석법, 액체 및 기체크로마토그래피분석, 전기분석법 등에 관한 내용을 검토한다.
환경유기화학 특론 (Advanced Environmental Organic Chemistry)
본 교과목에서는 유기화합물의 분류와 특성 등을 학습하며, 토양, 수질, 대기 등 환경 중에서의 반응과 영향에 대한 지식을 다양한 사례를 통해 학습함으로서 난분해성 및 미량 유기오염물질의 처리과정의 이해를 함양한다.
생물학적 대기오염제어 (Biotechnology for Air Pollution Control)
본 교과목은 대기오염방지공학과 생물공학 분야를 접목한 과목으로서 대기오염물질을 생물공학기술을 활용하여 처리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또한 최근 관련분야의 기술동향에 대한 고급정보를 제공한다.
대기질 융합공학 (Fusion Engineering for Air Quality)
본 교과목에서는 사회적 중요쟁점이 되고 있는 신기술(Emerging technology)분야에 대기질공학을 응용한 새로운 기술을 소개하고, 신기술 분야에서 대기환경공학자가 습득해야할 기술정보를 제공한다.
실내공기질공학 (Indoor Air Quality Engineering)
본 교과목은 실내공기질의 특징과 실내공기질 관리방안에 대해 학습하고, 실내공기질 향상을 위한 최근 기술정보를 제공한다.

Quick Menu

  • 서울과학기술대학교포털
  • 공학교육혁신센터
  • 입학안내
  • e-Class(강의)
  • 과기대 챗봇
  • 인터넷증명발급
[01811] 서울 노원구 공릉로 23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청운관 131호 환경공학과 TEL : 02-970-6623 FAX : 02-970-9770
Copyright (c)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ll Rights Reserved.